시그마 렌즈 라인업 중 고급 망원 렌즈는 Sports 렌즈로써 고화질과 필드 사용성을 모두 겸비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표준 60mm부터 장망원 600mm까지 10배 줌이 가능한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렌즈가 미러리스 전용으로 발표되었네요.
AF 성능을 중심으로 리뷰해 봤습니다.
"SIGMA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HLA AF 모터로 업그레이드된
10배 줌 망원줌렌즈 추천
feat. 소니 a7M4 미러리스 카메라
"시그마 60-600mm DG DN OS Sports 렌즈의 디자인 및 주요 스펙"
| 시그마 60-600mm DG DN SPORTS 디자인

풀프레임 이미지 센서에 대응하는 최대 망원 600mm 초점거리와 2,485g 무게의 렌즈인 만큼 포스가 상당합니다.
필터 구경 또한 105mm이기 때문에 흔히 이야기하는 대포 렌즈에 해당하기도 합니다.

최대 망원에서 당연히 아우터줌이 될 수밖에 없는데 경통이 상당히 돌출되다보니
60mm 최대 광각에서 경통이 수납 되었을 때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줌 락 버튼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줌링과 초점링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조작 버튼이 마운트 쪽에 위치하는데, AF/MF 전환 스위치 및 망원렌즈인 만큼 원거리 촬영을 위한
포커스 리미터 스위치 (6m 기준) 그리고 손떨림 방지 기능 OS 모드와 커스텀 모드 스위치가 적용되었습니다.

| 시그마 60-600mm DG DN SPORTS 주요 스펙



무게 자체가 상당하긴 한데 전작이랄 수 있는 DSLR 버전 대비 205g 정도 가벼워졌고,
보통 DSLR 버전 대비 미러리스 버전은 플랜지백만큼 마운트쪽 경통이 늘어나기 때문에 나름 경량화가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습니다.
이외에 9매의 원형 조리개가 적용되었고, 105mm의 대구경 필터 구경 및 45cm @60mm / 260cm @600mm의 최단 촬영거리는 의미 있는 근접 촬영이 가능합니다.
삼각대 마운트를 위한 소켓이 기본 제공되고 있고 방진/방적 설계로 어느 정도 야외 환경에 대응합니다.
"시그마 60-600mm DG DN OS Sports 렌즈의 화질 특성"
MTF 차트 / 렌즈 구성 / 100% 확대 분석 / 손떨방 테스트
| MTF 차트

MTF 차트는 최대 개방 조리개 값에서 각각 최대 광각 60mm와 최대 망원 600mm의 선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구경 망원 줌렌즈인 만큼 10라인은 모두 0.9~1.0 사이에 위치해 콘트라스트 표현이 명확하고 30라인은 망원단이 우수한데
주변부로 가면서 R/T 차이가 좀 벌어지는 정도가 보이는군요. 10배 줌을 생각해 보면 감안할 만한 수준입니다.
| 렌즈 구성

19군 23매의 렌즈 구성 중 FLD 2매, SLD 3매의 특수 렌즈가 적용되어 수차 억제를 효율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23매 중에 특수 렌즈 수량이 적어 보이기도 하는데 실상 해상력은 105mm 필터 구경의 큼지막한 렌즈가 잡아주고 색수차 컨트롤만 특수 렌즈로 해냈다고 볼 수 있지요.
렌즈 컨셉을 온전한 초경량보다는 10배 줌에서도 충분한 화질을 확보하는 쪽으로 결정한 이상
특수 렌즈를 필요한 만큼만 사용해 나름의 가격 상승을 억제했다고도 볼 수 있을 겁니다.
| 100% 확대 화질 분석

주요 화각이랄 수 있는 60mm와 600mm의 근접, 원거리 무보정 RAW 결과물을 통해 악조건 위주로 화질을 살펴봅니다.
줌 배율이 10배줌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지만 105mm 필터 구경의 대구경 및 그간의 시그마 렌즈 설계 역량의 향상을 통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화질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시그마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 소니 a7M4 | 60mm F4.5 | 1/250s | iso200>
범용성 측면에서 이렇게 거대한 렌즈가 45cm의 짧은 최단 촬영거리를 갖는 것은 꽤나 의미가 있습니다.
60mm 표준 화각에서 일반적인 단렌즈들과도 비견될 수 있는 수준의 촬영거리는 물론 최대 개방에서의 묘사가 상당히 선명하군요.

45cm @60mm 최단 촬영거리 근접 촬영

100% Crop Image | 1200 X 800 | Capture One 23 Pro

<시그마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 소니 a7M4 | 60mm F4.5 | 1/250s | iso200>
망원줌렌즈 영역에서는 60mm는 광각이라고 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원근 왜곡이 없는 초점거리가 50mm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왜곡 없이 가장 넓게 촬영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왼쪽 아래처럼 주변부에서 꽤 복잡한 선의 조합을 최대 개방에서도 잘 묘사하고 있지요.

F8.0으로 조리개 값을 높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주변부 묘사가 상당하다

100% Crop Image | 1200 X 800 | Capture One 23 Pro

<시그마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 소니 a7M4 | 600mm F6.3 | 1/2000s | iso250>
260cm @600mm 최대 망원의 최단 촬영거리는 강력한 배경 압축 효과와 더불어 꽤나 인상적인 프레임을 구성하게 해줍니다.
최대 개방 F6.3 조리개에서 극주변부의 마른 풀떼기들을 날카롭게 묘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요.

촬영시 발생할 수 있는 휴먼에러를 제외하면 화질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을 제공해 주는 신뢰성 있는 렌즈

100% Crop Image | 1200 X 800 | Capture One 23 Pro

<시그마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 소니 a7M4 | 600mm F6.3 | 1/2000s | iso100>
1km 수준의 원거리에서 최대 망원 600mm의 역광 사진입니다. 전체 사진에서도 플레어를 비롯한 광학적인 오류가 거의 보이지 않기도 하고,
일몰 무렵의 태양빛이 매우 강력한 상태에서 수차 컨트롤이 상당한 것을 볼 수 있지요.

작정하고 찍는 경우를 상정하더라도 안정적인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다.

100% Crop Image | 1200 X 800 | Capture One 23 Pro
| 시그마 60-600mm DG DN Sports 렌즈의 손떨방 OS 테스트

간략하게 핸드헬드 손떨림 방지 기능 OS 테스트도 진행해봅니다. 야간에 60mm 최대 광각 초점거리에서 1/5s 도전을 해봤는데 간당간당하군요.
아래 확대 사진에서 보시면 1/10s 전후 정도면 충분히 사용 가능한 수준이 될 것 같습니다.


600mm 최대 망원은 어떨까요? 호기롭게 1/10s에 도전해봅니다.
악조건을 최대한 보여드리는게 제 리뷰 방향성인지라 미세하게 떨리긴 했는데 한계치 샘플을 수록해봤네요.
이 정도 조건이면 삼각대 사용이 바람직하긴 한데 1/30s 정도는 손으로 충분히 가능했고 저보다 파지를 훌륭히 하신다면
1/10s에서도 좀 더 명확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그마 60-600mm DG DN OS Sports 렌즈의 AF 성능 분석 feat. 535연사"
소니 a7M4 10연사 세팅으로 갈매기를 끈질기게 쫓아보자
유튜브 리뷰 영상에서는 여러 상황에서 카메라의 AF 퍼포먼스를 HDMI로 출력해 분석해 봤습니다.
블로그 리뷰에서는 여기에 더해 가장 연사 컷 수가 많았던 535연사 촬영 결과물을 통해
HLA가 (High-response Linear Actuator) 적용된 시그마60600 렌즈의 AF 수준을 보여드립니다.

일단 제 메인 카메라인 소니 a7M4의 경우 10연사를 위해서 일부 세팅 조정이 필요합니다.
연사 모드를 Hi+ 설정하고, RAW 파일은 압축, 여기에 UHS-2 이상의 메모리카드가 필요하지요. (CFExpress Type-A 160GB 세팅)
핸드헬드 세팅으로, 즉 삼각대 없이 손에 들고 저 멀리 바다가 아닌데도 강가를 날아다니는 갈매기 한 마리를 집요하게 연사 촬영해 봅니다.
편집하며 확인해 보니 셔터를 누른 채로 총 535장의 사진이 연사 촬영되었더군요.
전체 컷 수 중에 적중률로 보면 95% 이상 수준이긴 한데, 촬영 조건이 좋진 못한 편이라 참고 수치 정도로 두고 중간중간 인상적이었던 장면 3개 케이스를 설명해 봅니다.
| 피사체와 배경을 분리하는 AF 추적

소니 a7M4 미러리스 카메라의 AF 성능은 적측형 센서가 탑재된 카메라를 제외하고는 미러리스 중에서도 상위권인 만큼 렌즈 성능만 좋다면
이 정도 피사체-배경 분리의 AF 추종성은 충분히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고속 연사 중의 추종이 문제없이 이어졌다는 데 의의가 있지요.






| 배경의 동적인 피사체 무시

이번에는 AF 추종 상태에서 뒤에 다른 피사체가 같이 움직일 때 기존 피사체를 쫓아가는 수준을 살펴봅니다.
소니 a7M4에서 피사체 전환 감도를 조절하면 크게 어렵지 않은 케이스인데, 일단 렌즈가 이러한 카메라의 컨트롤을 따라와 준다는 의미가 있지요.





| 급격한 피사체의 이동 시 극주변부까지 AF 추적

조류 사진 전문가분들께 더욱 의미 있는 케이스로 볼 수 있는 피사체의 방향 전환에 대한 AF 추적 성능입니다.
특히나 주변부-극주변부에서의 피사체 움직임을 상당히 기민하게 쫓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요.
적층형 센서가 탑재된 a1이나 a9 시리즈라면 더욱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여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강력한 AF 성능과 10배줌으로
풍경 사진부터 탐조 조류 사진까지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는 고급 망원줌렌즈"
SIGMA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시그마렌즈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렌즈는 60mm 표준 화각부터 시작해
최대 망원 600mm까지의 초망원 영역에 대응하는 10배 줌의 망원줌렌즈로써
신규 HLA (High response Linear Actuator) AF 시스템이 DG DN 렌즈 중 최초로 적용되어 시그마 렌즈의 AF 성능을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600mm 초망원 렌즈 특성상 조류 촬영까지 염두에 둔 사용 환경을 고려해 이번 리뷰에서는 AF 성능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네요.
줌배율을 고려한다면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시그마 DG DN의 70-200mm 라든가 150-600mm 등의 망원줌렌즈는 물론,
50mm F1.4 DG DN ART를 포함한 단렌즈 라인업까지 사진 및 영상 모두에서 AF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4kg이 조금 넘는 수준의 상당한 무게와 크기만큼 105mm 필터 구경의 확실한 화질 수준과 빠른 AF 성능의 바탕으로
탐조 등의 조류 사진을 비롯해 풍경, 다큐멘터리 촬영을 하시는 포토그래퍼들께 추천드립니다.
"Sample Images"
소니a7M4 & 시그마 60-600mm F4.5-6.3 DG DN OS Sports

샘플 사진은 주로 새 사진의 다양한 장면에서의 AF 특성이 살아나는 샘플 위주로 수록해봤습니다. 리뷰 기간 중 가용 시간 내에서 날씨운이 썩 좋지는 못했기도 하고,
초망원 렌즈의 경우 대기질이 화질에 영향을 많이 미치기도 하는만큼 AF 성능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게 되었네요.
ps. 소니 a7M4에 마운트해 촬영한 결과물을 4K 리사이즈하였습니다. RAW 후보정이 되었으며 화질 인자는 변경하지 않았습니다. (선명도, 비네팅 등)

























---------------------------------------------------------
ABOUT EDITOR
가을눈 I Blogger / Photographer
https://blog.naver.com/shiny_ss/223021180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