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GHLIGHT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명품이란?
-합리적으로 카메라 리그를 구성하는 방법

얼마 전에 작업실이 누수를 넘어 침수에 가까운 피해를 입은 적이 있습니다. 한껏 취향을 입힌 소품들과 책, 악기들 그리고 장비들을 가득 넣어두곤 ‘맨 케이브’라며 신나 했건만, 폭우로 인한 정전으로 워터 펌프가 멈춘 어느 날 고작 발목까지 차오른 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말았습니다.
몇몇 장비들이 망가진 것이 가장 사무친 피해인데, 피해 목록 가운데는 사용하던 시네마 카메라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폭우가 발생하면 정전이 되는 건물에서 전기로 작동하는 워터펌프가 아니면 제대로 된 배수가 되지 않는 구조라니 지금 생각을 해도 어이가 없지만 제대로 된 보상까지 받지 못해 떠올리면 떠올릴수록 씁쓸한 기억입니다.
고장 난 시네마 카메라의 수리는 후속 모델의 출시 소식, 감가가 발생한 가격, 그리고 그 금액을 넘어서는 수리비 등을 문제로 결국 포기해 버렸는데, 수리를 하는 대신에 마침 출시된 저렴한 시네마 카메라 하나가 여러모로 마음에 들어 구입을 결정했습니다(역시 전자기기는 신형이 좋은가 봅니다).

다만 전형적인 박스 형태의 시네마 카메라는 바디가 아무리 저렴해도 바디만으로는 아무것도 못 하는지라 부가적으로 갖춰야 할 것이 너무 많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에는 ‘카메라 리그(camera rig)’를 구성하는 것이 있죠.
카메라 리그를 구성하는 목적은 카메라에 다양한 장비를 부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함인데,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본체만으로는 다양한 장비를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나마 미러리스의 경우는 간소한 구성으로도 카메라를 조작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박스 형태의 시네마 카메라는 모니터마저 생략되거나 있어도 메뉴 확인 용도쯤인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리그의 구성은 필수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시네마 카메라의 접근 문턱이 높던 시절에는 카메라 리그를 구성하는 파츠 하나하나가 고가의 몸값을 자랑했지만, 미러리스의 탄생과 더불어 접근성이 좋아진 시네마 카메라를 타겟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카메라 리그 파츠가 출시되기 시작했는데, 그 중심에는 ‘스몰리그(Smalrig)’가 있습니다. 덕분에 이번에 카메라를 새로 구입하면서 몇몇 파츠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을 스몰리그의 제품들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리그의 예산 비중을 줄이고, 크게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의 비용으로 카메라 리그의 구성을 무사히 마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