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시그마 정품등록 이벤트 닫기

S매거진

스몰리그
PREMIUM
PRODUCT악세서리
[촬영명품 101] 누구에게나
명품이 될 수 있는 카메라 리그, 스몰리그
2025.02.21
235 2

 

· HIGHLIGHT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명품이란?
-합리적으로 카메라 리그를 구성하는 방법

 


 

 

 

 

얼마 전에 작업실이 누수를 넘어 침수에 가까운 피해를 입은 적이 있습니다. 한껏 취향을 입힌 소품들과 책, 악기들 그리고 장비들을 가득 넣어두곤 ‘맨 케이브’라며 신나 했건만, 폭우로 인한 정전으로 워터 펌프가 멈춘 어느 날 고작 발목까지 차오른 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말았습니다.

 

몇몇 장비들이 망가진 것이 가장 사무친 피해인데, 피해 목록 가운데는 사용하던 시네마 카메라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폭우가 발생하면 정전이 되는 건물에서 전기로 작동하는 워터펌프가 아니면 제대로 된 배수가 되지 않는 구조라니 지금 생각을 해도 어이가 없지만 제대로 된 보상까지 받지 못해 떠올리면 떠올릴수록 씁쓸한 기억입니다.

 

고장 난 시네마 카메라의 수리는 후속 모델의 출시 소식, 감가가 발생한 가격, 그리고 그 금액을 넘어서는 수리비 등을 문제로 결국 포기해 버렸는데, 수리를 하는 대신에 마침 출시된 저렴한 시네마 카메라 하나가 여러모로 마음에 들어 구입을 결정했습니다(역시 전자기기는 신형이 좋은가 봅니다).

 

 

 

 

다만 전형적인 박스 형태의 시네마 카메라는 바디가 아무리 저렴해도 바디만으로는 아무것도 못 하는지라 부가적으로 갖춰야 할 것이 너무 많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에는 ‘카메라 리그(camera rig)’를 구성하는 것이 있죠.

 

카메라 리그를 구성하는 목적은 카메라에 다양한 장비를 부착하여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함인데,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본체만으로는 다양한 장비를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그나마 미러리스의 경우는 간소한 구성으로도 카메라를 조작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박스 형태의 시네마 카메라는 모니터마저 생략되거나 있어도 메뉴 확인 용도쯤인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리그의 구성은 필수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시네마 카메라의 접근 문턱이 높던 시절에는 카메라 리그를 구성하는 파츠 하나하나가 고가의 몸값을 자랑했지만, 미러리스의 탄생과 더불어 접근성이 좋아진 시네마 카메라를 타겟으로 합리적인 가격의 카메라 리그 파츠가 출시되기 시작했는데, 그 중심에는 ‘스몰리그(Smalrig)’가 있습니다. 덕분에 이번에 카메라를 새로 구입하면서 몇몇 파츠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을 스몰리그의 제품들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리그의 예산 비중을 줄이고, 크게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의 비용으로 카메라 리그의 구성을 무사히 마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매월 30개 이상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월 3,900원에 만나보세요!

이미 가입했다면 로그인하기
  • 모든 콘텐츠 무제한 열람
  • 매일 새로운 큐레이션 콘텐츠
  • 구독자 전용 혜택

스페샬장

영상제작자(Baby/lonians film works)

https://www.instagram.com/special_jang

태그 #테크 #촬영명품101 #장비추천 #카메라리그 #영상용장비 #가성비장비 #스몰리그
조명가게 이전글 지윤을 쓰면 사진이 재밌어진다! <조명가게> 지윤 지속광 조명 체험 세미나 어두운 골목 끝 유일하게 빛을 밝히는 곳. 강풀 유니버스 속 조명 가게엔 삶과 죽음 사이, 그 경계에 선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진다면 단 하루, 반짝하고 강렬하게 존재한 세기P&C 유니버스 조명 가게엔 나만의 빛을 찾으려는 손님들이 방문했습니다. 조명을 체험을 할 수 있는 <조명가게>가 특별 오픈했거든요. <조명가게>는 언제, 어디서나 빛을 창조하는 조명, 그중에서도 지윤(ZHIYUN) 조명으로 이곳을 찾은 10명의 손님들의 무한한 영감을 자극했습니다. 세기P&C 유니버스 <조명가게> 빛은 화가의 붓을 춤추게 하고, 작가의 펜을 움직이며, 사진가의 셔터를 조종합니다. 빛에 따라 눈앞에 보이는 풍경이, 사진 속 피사체의 온도가 달라지고, 달라지는 그림만큼이나 작가의 생각과 느낌에도 변화를 주기 때문인데요. 빛을 배우고, 빛을 따라가며 숨겨진 크리에이티브를 찾아 나섰던 세기P&C 유니버스 <조명가게>. 그 때로 시간을 되돌려볼게요. 전문가도 갖고 싶은 조명, 지윤 포토파블로 작가 지난 Velvia 50 다음글 [필름 이야기] 가장 아끼는 필름을 꼽자면, Velvia 50 필름 이야기를 이어오면서 언급했던 브랜드들을 살펴보니 압도적으로 ‘코닥(Kodak)’과 관련한 내용이 많습니다. 코닥이라는 브랜드가 가진 정체성과 역사가 단순히 한 브랜드의 이야기만으로 끝나지 않고, 대중성을 고려하면 코닥에 편향하여 필름 이야기를 이어 나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다만 가장 사랑하는(했던) 필름을 뽑아보라면 그건 코닥의 필름이 아닌 ‘후지필름(Fujifilm)’의 ‘벨비아 50(Velvia 50)’입니다. Copyright ️ Ken Rockwel 루키마저도 될 수 없을 만큼 초보이자 학생이던 시절에 사진과 장비에 관해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은 곳은 아이러니하게도 누군가의 가르침이라든가 책이 아닌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서였습니다.당시 일과 중 하나는 집에 돌아와 컴퓨터를 켜고 각 커뮤니티에서 주기적으로 선정되는 사진들을 확인하며 어떻게 따라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 보는 것이었습니다. 그 시기는 디지털과 필름이 교차하는 시기였는데, 필름 사진을 위주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