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S매거진

고속동조
PREMIUM
TIP팁 & 노하우
[Lighting Class 초급]
최대개방의 묘미 고속동조 활용법
2025.03.17
240 1

· HIGHLIGHT
-광량을 양보하고 심도를 얻는 고속동조의 매력 
-같은 공간을 완전히 달리 표현하는 플래시의 중요성

 


 

 

모든 카메라는 플래시 사용 시 최적화된 셔터 스피드가 있습니다.
정해진 셔터 스피드 이상을 설정할 경우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칼럼 첫 회에 가볍게 언급했던 고속 동조 활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려 합니다. 고속 동조는 빛을 빠르게 발광시킨다는 뜻인데요. 왜 빠르게 발광시켜야 하고 어떤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촬영 예제를 통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우선 그전에 카메라와 플래시의 동조 속도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모든 카메라는 최적화된 동조 속도라는 것이 있는데요. 브랜드와 기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보편적으로 1/125~1/250 셔터 스피드 내에서 플래시가 정확하게 발광을 합니다. 그리고 그 이상의 셔터 스피드에서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정해진 셔터 스피드 이상의 속도를 플래시 발광 속도가 따라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조명 없이 촬영된 모델 촬영, 피사체의 노출값은 맞지만 배경에 화이트홀이 발생했습니다.
ISO100_1/160s_F9 설정값으로 플래시를 발광시켜 촬영한 결과물.


 

지난 칼럼에서도 언급했듯이 플래시를 활용하는 이유는 피사체와 배경의 노출값을 맞추기 위함입니다. 특히 필드 촬영 시 일관적인 결과물을 위해서는 절대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죠. 위 사진 중 첫 번째 결과물은 플래시 없이 인물에 노출값을 맞춰 촬영한 결과물입니다. 피사체의 노출값은 맞지만 배경에 화이트홀이 발생하여 상업적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결과물이 되었죠. 두 번째 사진은 적정 셔터 스피드에 플래시를 1/8 광량으로 조사한 결과물입니다. 첫 번째 사진과는 달리 배경과 피사체의 노출값이 비교적 잘 맞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망원 렌즈 특유의 얕은 심도 표현을 연출하고 싶지만 배경과 피사체가 너무 붙어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속 동조를 활용할 경우 결과물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매월 30개 이상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월 3,900원에 만나보세요!

이미 가입했다면 로그인하기
  • 모든 콘텐츠 무제한 열람
  • 매일 새로운 큐레이션 콘텐츠
  • 구독자 전용 혜택

서타이거 글 · 사진

사진은 빛을 쫓는 모험

https://www.instagram.com/sawtiger666/

태그 #조명사용법 #조명강의 #조명팁 #Lighting Class #서타이거 #고속동조
눈이 내리면 이전글 눈이 내리면 카메라를 들고 산으로 향합니다 전 오래된 오프로드용 자동차를 타고 있습니다. 사실을 이야기하자면 본격적인 오프로더라기엔 평범한 SUV일 뿐인데, 버튼을 몇 번 누르면 눈길이나 모래, 숲길이 표시된 램프가 깜빡거리며 바뀌기에 어쩐지 어떤 길이라도 달릴 수 있을 것만 같은 자신감이 샘솟습니다. 사실 램프가 바뀌는 것을 눈으로 보며 직관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몸으로는 그다지 체감하기 어렵지만, 기분이나마 오프로드를 달릴 수 있는 자동차라며 험한 길이 나타나면 혼자서 으쓱하곤 합니다. 특히나 눈이 내릴 때면 어쩐지 가만히 있기가 힘들어 차를 타고 산으로 올라가곤 합니다. 단단하게 뭉친 눈 위에 자동차가 햄버거빵 위의 패티마냥 살포시 얹어져 움직이지 못한다거나 산 중턱에서 만난 빙판에 미끄러져 발만 동동 구른다거나 하는 경우를 몇 번이나 만났건만 매일 보는 풍경마저 모조리 바꿔 놓는 눈이 가진 힘은 굉장해서 눈이 내리는 날에 바쁜 일정이 있다거나 출장이라도 있으면 무척이나 아쉽습니다. 같은 눈이 내린 풍경 후막동조 다음글 [Lighting Class 초급] 논란의 후막 동조, 도대체 왜 있는 기능일까? 선막과 후막은 빛의 잔상이 앞으로 남느냐 뒤로 남는냐의 차이입니다. 예전에 RedBull 포토그래퍼 팀에서 활동하며 페스티벌과 파티 사진을 수년 동안 담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런 류의 사진은 현장의 정확한 느낌도 중요하지만 역동적인 분위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근접거리에서 플래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저속 셔터와 저광량 플래시를 활용한 사진을 적재적소에서 연출했는데요. 그런데 그런 사진을 업로딩할 때마다 인상적인 질문들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혹시 후막 동조를 사용해서 그런가요?”, “선막 동조인가요? 후막 동조인가요?” 당시만 해도 그 질문들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핵심은 선막, 후막이 아니라 셔터 스피드와 광량이었기 때문이죠.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그런 질문을 했던 사람들은 선막과 후막에 대해 뭔가 오해를 했던 것으로 예상해 봅니다. SYNC 버튼을 눌렀을 때 아무것도 뜨지 않으면 선막, 마지막 화살표에 표시가 있으면 후막입니다. ISO200_F4_1/125_1/4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