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HOVERAir 신제품 런칭 이벤트 닫기

S매거진

TV Logic
PREMIUM
PRODUCT악세서리
[촬영명품 101]
레퍼런스 장비로서의 필드 모니터, TV Logic
2025.05.27
92 2

· HIGHLIGHT
-필드 모니터를 사용하는 이유
-훌륭한 필드 모니터란?

 


 

 

 


최근의 미러리스 카메라는 대부분 사진과 영상 모두를 아우르는 장비로써, 이미지 제작 전반이 가능한 기기가 되었습니다. 미러리스의 카메라의 시대가 열리고 얼마 지나지 않은 것 같음에도 특히나 영상 장비로써의 기술 발전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져 지금의 미러리스 카메라의 영상 성능은 불과 몇 년 전, 컨슈머급 영상 장비들에선 상상할 수도 없었던 기술들로 무장되어 있기도 합니다.

 

사진 촬영에 있어 카메라는 렌즈와 보디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영상 촬영에 들어가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같은 카메라라 할지라도 영상을 본격적으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비가 하나씩 장착이 되기 시작하고, 결국 꽤 거대하고 무거워지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게 장착이 되는 장비들 가운데 크기와 무게에 가장 크게 공헌하는 것을 하나만 꼽아보라면 누가 뭐래도 필드 모니터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더 크고, 무거운 장비들이 장착되기도 하지만 리그의 크기와 무게, 촬영의 규모에 상관없이 영상 촬영을 위해선 필드 모니터는 거의 필수에 가까운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필드 모니터를 사용하는 첫 번째 이유는 정확한 포커스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대다수의 DSLR, 혹은 미러리스 카메라들은 작고 해상도가 낮은 모니터를 내장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미세한 포커스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시네캠은 내장 모니터마저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들도 있으니 필드 모니터 없이는 아예 촬영 진행이 불가합니다. 이런 이유로 필드 모니터는 FHD나 4K의 해상도에 자체적으로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두 번째는 노출과 명암 조절을 확인하는 용도입니다. 필드 모니터는 카메라의 내장 노출계보다 정확한 웨이브폼, 히스토그램, False Color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정밀하게 표시되는 노출 데이터들이 시인성이 뛰어난 화면에 떠오르니 면밀히 살펴 가면서 촬영을 이어 나가기에 적합합니다.

매월 30개 이상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월 3,900원에 만나보세요!

이미 가입했다면 로그인하기
  • 모든 콘텐츠 무제한 열람
  • 매일 새로운 큐레이션 콘텐츠
  • 구독자 전용 혜택

스페샬장

영상제작자(Baby/lonians film works)

https://www.instagram.com/special_jang

태그 #테크 #촬영명품101 #장비추천 #영상장비추천 #티비로직 #필드모니터 #tvlogic
청수사 이전글 [나의 반려 렌즈] ZEISS Batis 2/25와 떠난 교토 청수사 여행 청수사에서는 교토를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오래된 절의 정취와 함께 전망대의 역할도 할 수 있어 항상 사람이 많습니다. “교토는 옛 정취를 간직한 오래된 도시입니다.”라고 하면 뭔가 전형적인 묘사 같은 느낌이 듭니다. 제가 생각하는 교토는 일본의 아이콘 같은 곳이 아닐까 합니다. 낡은 목조건물, 기모노를 입은 사람들, 하천이 흐르고 그 옆으로 늘어선 가게들. 미디어에서 보여주는 일본이 교토에는 한곳에 모두 모여 있습니다. 8년 만에 방문한 교토는 사람으로 가득했습니다. 조용하고 한가로웠던 기억과 달라 놀랐습니다. 그 때문인지 오랜만에 방문한 교토는 여행객으로 인산인해였습니다. 특이한 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어느 한곳으로 치우치지 않은 것이랄까요. 서양인들이 많은 것은 물론 인도계로 보이는 사람도 있었고 아랍어도 들렸습니다. 전 세계에서 일본을 느껴보고 싶은 사람은 전부 교토로 온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바티스는 빠르고 정확한 AF가 가능한 모델입니다. 자이스의 Zeiss 다음글 [촬영명품 101] 렌즈 그 이상의 의미, Zeiss 최근에 준비 단계에서부터 꽤 공을 들이고 있는 촬영이 있습니다. 어떤 작업도 중요하지 않은 작업은 없다지만, 상업적으로 이미지를 제작하는 일은 결국에는 누군가의 의뢰와 요구에 의한 것이기에 사실 창작과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괴리에 빠져 항상 갈증을 느끼곤 합니다. 상업(혹은 대중문화)과 창작, 예술의 경계를 교묘하게 넘나드는 거장들은 그 시도조차 칭송받을 수 있다지만, 그건 저와 같이 생계형 이미지 제작자들이 오를 수 있는 경지의 영역은 아닙니다. 때문에 창작에 자유도가 주어진다거나 예술성이 짙은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개인적으로는 예술병이 동하여 특히나 더 진지하고 예민하게 촬영을 준비하곤 합니다. 그렇게 촬영을 준비할 때면 가지고 있는 장비들을 늘어놓고, 점검하면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와 부족하거나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체크합니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장비들이 오가곤 하는데요. 그럼에도 저에겐 꽤 오랫동안 바뀌지 않고 자리를 그대로 지키고 있는 장비들이 있는데, 바로 ‘Zeiss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