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S매거진

SEE.MENT
PREMIUM
LIFETravel & Place
[제주카페기행] SEE.MENT,
대형 카페의 정석
2025.09.01
44 1

· HIGHLIGHT
-한국에서 생겨난 관광지화된 대형 카페들
-공간 그 자체의 매력에 집중한 대형 카페의 정석

 


 

한국의 카페 문화는 카페라는 공간이 가진 의미와 전 세계적인 카페 문화와 비교해도 매우 특이하고 독특한 방향으로 선도해 나가는 현상을 보입니다.

 

카페는 이름처럼 커피를 소비하는 공간으로, 커피를 주로 섭취하던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을 기반으로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의 카페는 지극히 마을 기반의 일상 공간입니다. 이 카페는 로컬 커뮤니티와 연결되어 있으며, 관광객보다는 단골 중심의 ‘작은 생활 공간’의 성격을 띱니다. 물론 몇몇 대형 프랜차이즈라는 예외가 있긴 합니다.

 

일본의 경우는 컨셉추얼한 형태의 카페가 존재하긴 하지만 대부분 소규모에 정적인 분위기를 선호하고 ‘맛’과 서비스’를 추구합니다.

 


하지만 한국 카페의 경우 ‘관광지화’가 이루어져 카페라는 공간에 방문하는 것 자체가 ‘여행의 목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카페가 ‘체험할 만한 공간’이자 ‘SNS 콘텐츠 생산지’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카페들은 과감한 건축 디자인, 대형 스케일, 자연 풍경과의 조화에 보다 집중하기 시작했으며, 자신들의 ‘철학’과 ‘스토리텔링’을 앞세워 정체성을 구축했습니다.

 

때문에 지금의 한국 카페 문화는 커피보다는 공간 경험, 세계관, 브랜딩 이미지가 더 큰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트렌드는 한국 문화 영향권 안에 있는 몇몇 아시아 나라로 확산해 가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한국의 카페 관광지화 현상에서 상징적 중심지이자 실험장은 역시나 세계적인 휴양지인 ‘제주도’입니다. 제주도의 카페는 질적 영향력, 트렌드 형성력, 공간 실험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인구 1만 명당 카페 수가 서울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간단한 사실만으로도 유추가 가능한 사실입니다.

 

게다가 서울의 카페들은 ‘로컬 감성의 브랜딩’을 위주로 하고 있다면, 제주는 ‘공간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완결형의 형태로 관광객 대상 마케팅을 해나가는 형태입니다. 게다가 건축가, 디자이너, 포토그래퍼들에 의해 카페가 하나의 건축 작품처럼 다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매월 30개 이상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월 3,900원에 만나보세요!

이미 가입했다면 로그인하기
  • 모든 콘텐츠 무제한 열람
  • 매일 새로운 큐레이션 콘텐츠
  • 구독자 전용 혜택

스페샬장 글 · 사진

영상제작자(Baby/lonians film works)

https://www.instagram.com/special_jang

태그 #제주여행 #제주카페 #제주도카페 #제주관광 #카페투어 #대형카페 #제주대형카페 #시멘트 #SEE.MENT
두브로브니크 이전글 유럽이 사랑한 여름 도시,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두브로브니크의 여름, 스트라둔 거리 아드리아해의 눈부신 햇살 아래, 붉은 지붕과 새하얀 성벽이 그림처럼 펼쳐진 도시, 두브로브니크. 이곳은 단순한 휴양지를 넘어,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가 숨 쉬는 살아있는 박물관입니다. 과거 한국의 한 예능 프로그램 속 여행지로 소개되어 아름다운 풍경이 알려졌는데요. 이미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지만, 특히 유럽인들에게는 여름휴가 0순위로 손꼽히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 곳입니다. 두브로브니크의 모든 골목과 바다 위에서 마치 영화 속 한 장면 같은 환상적인 여름의 순간을 맞이해보는 것도 특별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1.붉은 지붕과 푸른 바다의 조화 : 성벽 위에서 보는 도시 두브로브니크를 방문한다면 이 도시의 가장 상징적인 건축물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성벽 위를 걷는 경험은 필수입니다. 약 2km에 달하는 이 거대한 성벽은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수 세기 동안 두브로브니크 공화국의 독립과 번영을 수호해 온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제철코어 다음글 제철코어, 접시에 계절 담기 저는 최근 이마트, 홈플러스, 동네 마트 등등 온갖 마트를 돌아다녔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바로 햇감자 포카칩을 구매하기 위해서였어요. 오리온은 제철 감자를 사용한 포카칩엔 평소에 쓰는 ‘생감자’란 단어 대신 ‘햇감자’를 써서 제철 재료로 만든 과자라는 점을 소구하고 있어요. 이뿐만 아니라 여러 카페에선 시즌별 과일 디저트가 나오고, 여름이 오기 전부터 수박주스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요즘 이 현장을 두고 ‘제철코어’라고 부르기도 해요. 사실 코어라는 단어만 붙었을 뿐, 낯선 일은 아닙니다. 우리는 예전부터 봄에는 달래, 여름엔 초당 옥수수, 가을엔 전어를 먹었듯 제철에 먹어야 가장 맛있고 영양도 높은 음식을 즐겼어요. 게다가 우린 먹는 데에 진심이잖아요. 더위와 싸우느라 기력이 다하는 요즘, 우리를 위한 제철코어를 준비해 봤습니다. 이곳들이 우리에게 활력과 즐거움을 주길 바라며. 마르쉐 작은농부시장 -인스타그램 비가 추적추적 내려도 농부 시장은 못 참죠. 모양도, 크기도, 색도 제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