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S매거진

펜탁스 17과 호버에어
PRODUCT브랜드이야기
펜탁스 17과 호버에어는
왜 美 타임지에 등장했을까?
2025.10.16
224 1

배우가 연기를 잘하면 연기대상을 받고, 가수가 역작을 발매하면 그해 시상식에서 상을 휩쓸기도 한다. 제품의 디자인이 아름답거나 획기적이면 디자인 어워드에서 이목이 쏠린다. 사람이든 사물이든 누군가는 그 안에 내재한 뛰어난 가치를 반드시 알아보는 법이다. 2025년,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지(TIME)도 '2025 최고의 발명품(Best Inventions of 2025)'이란 타이틀로 각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낸 제품을 선정했다. 300가지 리스트 중 두 가지 제품이 눈에 띄었다. 하나는 아날로그를 자극하고, 또 하나는 진보한 기술을 보여준다.

 

 

디지털 세대에게 온 새로운 이상(理想), 펜탁스 17(PENTAX 17)

 

리코이미징이 약 20년 만에 목측식 필름 카메라 '펜탁스 17(PENTAX 17)'을 출시했다. 그것도 하프 프레임으로 말이다. 하프 프레임이란 35mm 필름 촬상면을 반으로 나누기 때문에 필름 한 롤(36장)로 72장을 찍을 수 있다는 뜻이다. 세로 촬영이 익숙한 스마트폰 세대에겐 기본 세팅이 세로 사진인 펜탁스 17은 낯설면서도 어딘가 익숙한 기분이 들 것이다. 또한 35mm 필름에 두 장의 컷이 담기니 원하는 장면을 연달아 연출할 수 있고, 한 번쯤 잘못 찍어도 71장이나 남아 있어 실수에 너그러워질 수 있다. 하나 더 추가하자면 레버를 돌리는 손끝 감각이 제법 짜릿하다. 

 

이렇게 펜탁스 17은 하나의 이상(理想)이자 즐거움이며 호기심의 대상이 됐다. '수년간 즐거움을 선사하도록 설계된 고품질 제품'이라고 한 리코이미징 북아메리카 켄 커리 대표 말처럼 말이다. 게다가 '빨리빨리'가 익숙한 현대에서 필름 현상을 고대하는 기다림의 미학까지 더하니 이보다 더 신선한 경험은 없을지도. 과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의 발명품이라 칭할 만하다.

 

*발췌: https://time.com/collections/best-inventions-2025/7318276/pentax-17/





나만 바라보는 카메라가 있다면, 호버에어(HoverAir) X1 PRO MAX

 

내 모습을 기록함에 있어 딜레마는 누군가가 촬영해 주지 않는 이상 혼자서는 '나'를 기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셀프 카메라 모드가 있다지만 극히 한정된 프레임에서 맴돌 뿐, 내 일상을 폭넓게 기록하기란 쉽지 않다. 이 아쉬운 점을 긁어주는 카메라가 바로 ‘호버에어(HoverAir)’ 드론 카메라, 그중에서도 타임지는 ‘호버에어 X1 PRO MAX’ 모델을 선정했다.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작고 가볍다고 얕봐선 안 된다. 호버에어 X1 PRO MAX는 내가 레저를 즐길 때도, 자전거를 타고 달릴 때도, 홀로 여행을 할 때도, 그냥 길거리를 걸을 때도 함께 비행하며 일거수일투족을 최대 8K 화질로 담는다. 

 

마치 반려처럼 내 주변을 떠나지 않아 빠르게 유대 관계(?)가 형성된다. 반려 드론, 파트너, 나만의 카메라 맨, 기특한 친구 등등 애칭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더욱이 AI가 화두인 시대에 호버에어는 AI로 사용자를 추적하는 진일보한 기술과 내장 센서로 알아서 방해물을 피해 가는 똑똑함까지 갖췄으니 최고의 발명품으로 선정되는 건 어쩌면 당연지사다.

 

*발췌: https://time.com/collections/best-inventions-2025/7318494/hoverair-x1-promax/



에디터 C 사진

오늘도 장비를 삽니다. 장비 없인 못살아.

에디터 M

끄적이고 있습니다.

태그 #펜탁스17 #PENTAX17 #펜탁스 #호버에어 #HoverAir #호버에어X1PROMAX #HoverAirX1PROMAX
Manfrotto ONE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삼각대 이전글 영상+사진 작가에게 최적화 Manfrotto ONE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삼각대 with MVH500AH 영상+사진 작가에게 최적화 Manfrotto ONE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삼각대 안녕하세요, 동네찍사입니다. Manfrotto(맨프로토) 삼각대 중 영상과 사진을 함께 사용할 만한 삼각대가 있어 한 달 정도 사용했습니다. 그동안 사용했던 삼각대와 약간 다른 방식이라 사용하면서 조금 색달랐습니다. 요즘 저도 영상 쪽에 관심이 조금 있는데 편집도 어렵긴 하지만 촬영도 마음처럼 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항상 삼각대를 쓰지 않기 때문인데요. 요즘 아무리 카메라 손떨림 방지 기능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실제 손으로 들고 찍는 영상과 삼각대를 활용한 영상, 비디오 헤드를 사용한 영상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이번 Manfrotto ONE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삼각대를 써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아~ 이래서 비디오 헤드를 쓰는구나" 했습니다. 그럼 Manfrotto ONE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삼각대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보실 수 있을지 제가 사용해 본 느낌과 사진 SIGMA BF 미러리스 카메라 다음글 상상력의 회복, 색의 미학 SIGMA BF 미러리스 카메라 SIGMA CAMERA REVIEW SIGMA BF 긴 기다림의 끝, 시그마에서 아주 재미있는 카메라가 출시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고대한 포베온 센서는 아니지만 UI - 사용자 경험의 측면에서는 포베온 이상으로 센세이션한 카메라일지 모른다. SIGMA BF의 풀네임은 beautiful foolishness, 직역하면 아름다운 어리석음을 의미한다. SIGMA의 대표 야마키 카즈토는 여러 언론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이 카메라의 이름과 콘셉트를 일본의 다도 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고안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오카쿠라 카쿠조의 책 『The Book of Tea』의 도입에서 저자는 "Let us dream of evanescence, and linger in the beautiful foolishness of things"라며 일본의 미학적 정서 저변에 깔린 순간의 아름다움과 불완전함을 강조하였는데, 어쩌면 일본 문화 전반에 놓여있는 순간의 가치는 곧 사진이 지닌 가치가 아니었나 싶다.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